2025/04 10

적금 말고 할 수 있는 재테크 3가지 | 나도 이렇게 시작했어

나도 처음엔 다들 그렇듯 적금만 들었어. 월급의 30%는 무조건 적금에 넣고, 나머지로 생활하는 게 전부였지. 하지만 1년 전부터는 조금씩 다른 재테크에 도전해 봤는데, 지금은 적금보다 훨씬 더 다양한 방법으로 돈을 굴리고 있어. 오늘은 적금 말고 내가 시도해 본 재테크 3가지를 소개할게. 나처럼 초보자인 네가 조금 더 쉽게 시작할 수 있도록!!! 1. 소액으로 시작하는 ETF 투자 처음 투자를 시작할 때 가장 무서웠던 건 '돈을 잃을까봐' 였어. 그래서 선택한 게 ETF(상장지수펀드)였지. 이건 여러 기업의 주식을 한 번에 살 수 있는 상품이야. 쉽게 말해 다양한 기업이 들어간 바구니를 사는 거지. 하나가 망해도 다른 것들이 있다 보니 위험이 분산된다는 게 내게는 큰 매력이었어. 처음엔 매달 ..

카테고리 없음 2025.04.24

주식 vs ETF 진짜 차이점 | 초보가 시작하기 좋은 건 뭐야?

오늘은 재테크 초보자들이 가장 많이 고민하는 주제, '주식과 ETF 중에 뭐부터 시작할까?'에 대해 이야기해 볼게. 나도 처음에 이 고민 엄청 했거든. 주식을 사야 할지, ETF를 사야 할지 매일 밤 고민하다 잠들었다니까? 그래서 오늘은 내가 알아본 주식과 ETF의 진짜 차이점, 그리고 완전 초보자 입장에서 뭐부터 시작하면 좋을지 솔직하게 공유해 볼게. 주식과 ETF, 대체 뭐가 다른 거야?먼저 간단하게 개념부터 정리해 보자. 주식 > 한 회사의 지분을 사는 거야. 삼전 주식을 사면, 너는 삼전이라는 회사의 '일부분'을 소유하게 되는 거지ETF > 여러 회사의 주식(또는 다른 자산)을 한 바구니에 담아서 거래하는 상품이야. 코스피 200 하나를 사면, 코스피 상위 200개 회사에 자동으로 분산..

카테고리 없음 2025.04.23

ETF 투자 시작 | 처음이라면 이 순서대로 해보자

ETF 개념은 이제 알겠어. 여러 주식을 한 번에 살 수 있고, 주식처럼 거래되면서도 펀드처럼 분산 투자되는 거지. 근데 문제는 이제부터야. 그래서 어떻게 시작하지? 나도 딱 이 지점에서 멈칫했었어. 주식 앱에 들어가 봤는데 ETF 가 진짜 너무 많고, 이름도 복잡하고, 뭐부터 눌러야 할지도 모르겠더라고. 그래서 오늘은 ETF를 진짜 처음 시작하려는 사람 입장에서, 어떻게 접근하면 되는지 정리해 볼게. 어렵지 않게, 천천히 따라와 봐. ✅1단계 - 증권사 계좌 만들기ETF는 주식처럼 거래되니까 기본적으로 증권사 계좌가 필요해. CMA 계좌든 일반 종합계좌든 상관없어. 요즘 대부분 증권사 앱에서 주식 거래 가능한 계좌로 만들면 돼. 앱만 있으면 5-10분이면 뚝딱 만들어. ✅2단계 - 앱 설치..

카테고리 없음 2025.04.22

ETF란 | 주식이랑 뭐가 다른건지 쉽게 정리해봄

오늘은, 많이 들어는 봤지만 막상 설명하려면 입이 막히는 'ETF'에 대해 정리해 볼게. 나도 처음에는 펀드랑 비슷한데, 주식처럼 사고팔 수 있다? 이게 도대체 무슨 말인지 헷갈렸거든. 재테크 시작한 지 얼마 안 되는 내 기준에서, ETF란 뭔지, 솔직하게 풀어볼게. ETF란? 도대체 뭐야?ETF는 exchange traded fund의 줄임말이야. 한글로는 '상장지수펀드'라고 해.상장 -> 주식처럼 거래소에서 실시간으로 살 수 있다는 거야지수 -> 코스피, 나스닥 같은 시장 지수를 따라간다는 거펀드 -> 여러 주식이나 자산을 모아놓은 꾸러미 쉽게 말하면, ETF는 여러 개의 주식을 한 바구니에 담아놓고 그 바구니를 통째로 주식처럼 사고파는 상품이라고 생각하면 돼. 왜 ETF가 좋다고들 하는 거..

카테고리 없음 2025.04.17

cma 계좌 단점 | 써보니까 이런 건 좀 불편하더라

cma 계좌, 증권사 통장. 이거 괜찮다고 해서 만들었고, 실제로도 잘 쓰고 있어. 하루만 맡겨도 이자가 붙는다는 게 신기했고, 입출금도 자유로워서 비상금 통장으로 딱이었으니까. 그런데 쓰다 보니까, 생각보다 아쉬운 점도 많아. 단점이라고까지는 안 해도, 알고 있으면 좋을 불편한 부분들을 오늘 조금 정리해 볼게. 일단, 가장 먼저 느낀 건, 예금자 보호가 안된다는 점이야. 은행 예금은 5천만 원까지 보호가 되잖아? 그런데 CMA 계좌는 증권사에서 운영하는 거라서 기본적으로 예금자 보호 대상이 아니야. 물론 운용되는 상품이 안전한 RP(환매조건부채권) 형이면 큰 문제는 없다고 하지만, "보호된다"라는 말이 없는 것만으로도 찝찝해지는 건 사실이야. 그리고 이자. 하루만 넣어도 이자가 붙는 건 맞지..

카테고리 없음 2025.04.15

cma 계좌 | 은행 말고 증권사 통장 만들면 뭐가 다를까?

cma 계좌, 증권사 통장. 들어본 적은 있는데 정확히 뭐가 다른지는 모르겠다면, 나랑 같은 입장일지도 몰라. 나도 처음엔 "그냥 은행 통장이랑 뭐가 다르다고?" 싶은 마음으로 검색하다가 cma 계좌라는 걸 알게 되었지. 오늘은 내가 알아본 내용을 기준으로, 최대한 어렵지 않게 정리해보려고 해. 리얼 내 입장에서 정리한 현실 버전이야.       일단 cma 계좌는 일반적인 입출금 통장처럼 돈을 넣고 뺄 수 있는 계좌야. 그런데 그 안에 있는 돈이 그냥 놀지 않고, 짧은 기간이라도 '투자 상품' 에 자동으로 들어가서 이자를 준다는 게 핵심이야. 예를 들면, cma rp 형은 하루만 넣어둬도 다음날 이자가 붙어. 하루 단위로 자동 운용이 되고, 필요할 땐 바로 인출도 가능해. 은행 입출금 통장 + 자동 단..

카테고리 없음 2025.04.13

적금 금리 높은 곳 | 초보자가 직접 비교해본 현실적인 선택 기준

적금 금리 높은 곳, 어디가 좋을까? 그런데, 솔직히 말해서, 요즘이 진짜 금리가 높은 시기는 아닌 듯. 예전에 비하면 많이 낮아졌고, 지금은 고금리라기보다는 '상대적으로 괜찮은 조건'을 찾는다는 느낌으로 가는 게 맞는 것 같아.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나처럼 재테크 초보 기준으로 '적금 금리 높은 곳'을 어떻게 찾아야 하는지 정리해보려고 해. 물론 최대한 현실적인 기준으로만!!        일단 나는 뱅크샐러드나 토스 같은 앱을 활용해서 찾고 있어. 이런 앱들은 여러 은행의 적금 상품을 한 번에 모아서 보여주기 때문에, 금리 높은 상품을 고르기 쉬워.  예를 들어 적금 비교 앱 기준으로 2025년 4월 현재 눈에 띄는 상품은 이런 것들이 있었어.- 한 은행의 친환경 미션 연계 적금: 연 4.3% (조건 ..

카테고리 없음 2025.04.10

적금가입 후기|자유적립식으로 시작해본 첫 적금 이야기

적금 상품을 이것저것 비교하다가 결국 자유적립식 적금으로 가입했어. 이번 글은 그 첫 적금의 이야기, 적금가입 후기야. 뭐 대단한 건 아니고, 그냥 나처럼 재테크 시작하는 입장에서 쓴 작은 기록. 내가 가입한건 B은행 자유적립식 적금이었어. 가입 당시 금리는 연 3.5%였고, 별다른 우대 조건 없이도 기본 금리가 적용되는 상품이었지. 조건이 복잡하지 않아서 마음이 갔고, 나처럼 자동이체나 카드 실적 챙기기 어려운 입장에선 꽤 편한 선택이었어. 가입은 B은행 앱에서 간단하게 했어. 요즘은 뭐 다 비대면이니까. 근데 버튼 누르기 전까지 살짝 망설여졌어. "이거 지금 내가 잘하고 있는 건가?" 싶은 마음. 또 얼마를 넣을지도 고민됐지. 자유적립식이라 금액은 내가 정하는 거지만, 그게 또 은근히 어려워. 너무 ..

카테고리 없음 2025.04.08

적금 비교|자유적립식 vs 정액적립식, 나한텐 뭐가 맞을까?

요즘 재테크 막 시작한 초보자 입장에서, 적금 하나 고르려는데, 생각보다 진짜 복잡하더라. 그냥 금리 높은 거 하나 고르면 되지 않을까 싶었는데, 막상 들어가 보면 조건도 다르고 종류도 엄청 많음.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내가 실제로 적금 상품 고를 때 기준으로 삼았던 것들을 정리해봤음. 누누이 말했지만 이건 완전 '초보자' 기준임.       일단, 제일 먼저 보게 되는 건 금리지. 숫자로 떡하니 쓰여 당연히 먼저 보게 됨. 근데 이게 또 기본인지, 우대인지에 따라 차이가 크더라고. 어떤 적금은 기본은 낮은데 우대 조건 잘 맞추면 꽤 높은 금리를 받을 수 있고, 또 어떤 건 기본은 높고 우대 조건이 아예 없는 경우도 있었어. 그다음은 적립 방식. 크게 두 가지로 나뉘더라? 항목정액적립식자유적립식돈 넣는..

카테고리 없음 2025.04.03

적금이랑 예금 뭐가 다른 건지 진짜 쉽게 정리해봄

솔직히 말해서, 얼마전까지만 해도 '적금' 이랑, '예금' 이 똑같은 말인줄 알았음. 그냥 둘 다 은행에 돈 넣고 이자 받는거 아니야?이런 생각으로 살아왔는데나도 이제 재테크좀 해야지 하며 알아보니,진짜 중요한 차이가 있더라.          💡 예금 vs 적금, 진짜 쉽게 비교해보자 구분예금적금돈 넣는 방식목돈을 한 번에 넣음돈을 매달 나눠서 넣음이자 방식처음부터 전체 금액에 이자 붙음 -> 이자 많음조금씩 쌓이기 때문에 이자는 조금 적음누가 하면 좋음이미 돈 있는 사람 (굴리기용)돈 모으고 싶은 사람 (그야말로 저축)예시500만 원 예금, 1년 뒤에 원금 + 이자월 30 만원 씩 12개월 적금 후 이자 포함  요약하자면, 예금은 " 돈이 이미 있는 사람 " 이 굴리는 방식이고적금은 " 돈을 아직 모..

카테고리 없음 2025.04.01